👩🏻‍💻 TIL

AWS 개념 정리

ji-hyun 2023. 6. 3. 18:10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온디맨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종량 과금제

 

- 온디맨드 서비스: 사용자가 요청하는 즉시 제공되는 서비스

- 종량 과금제: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한 양에 따라 요금을 지불하는 요금 체계

 

 

기존의 물리적인 형태의 실물 컴퓨팅 리소스를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AWS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

- 데이터센터 운영 및 유지관리에 비용투자 불필요하고 몇분만에 전세계에 배포. AWS 는 언어 및 운엉 체제에 구애받지 않는 플랫폼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비즈니스에 가장 적합한 개발 플랫폼 또는 프로그래밍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할 서비스를 한 개 또는 여러 개 선택하고, 그 사용 방식도 선택할 수 있다.

 

-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물리적인 서버를 구축하길 기다리는 대신 즉시 새로운 앱을 배포하고, 수요를 기준으로 축소할 수도 있다. 필요한 가상 서버가 한 대든 아니면 수천 대든, 가상 서버가 필요한 시간이 몇 시간이든 사용한 양만큼 비용이 청구된다.

 

 

 

리전(지역)

-> 말 그대로 지리적 위치를 말한다.

-> 내가 서비스하려는 지역의 주 고객들이 거주하는 지역과 서버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느려진다. (웹 사이트를 운영한다고 하면 내 사이트를 이용하는 고객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중요)

-> 즉 주 고객들이 거주하고 있는 곳과 가까운 리전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히 좋다

-> 최소한 2개 이상의 가용 영역(AZ)로 구성된다

 

 

 

가용 영역 (Availability Zone) (AZ)

-> 데이터 센터의 클러스터

- 한 리전에는 여러 가용성 영역이 있다. (한 리전당 최소 2AZ)

-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 한 건물인 것과 같이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빠르게 데이터를 백업하고 데이터를 이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 다른 가용영역(AZ)의 장애로부터 격리됨

각각의 다른 가용 영역의 장애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자연재해 또는 단층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은 AWS 에서 가용영역을 분리한다.

즉, 현재의 서울의 AZ 는 2개이고 한개의 AZ가 장애가 나더라도 다른 AZ 를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구조이다.

이런 위험 분산 측면에서 AZ가 최소한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같다.

 

 

ex)

2019년 11월 22일 AWS 의 서울 지역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였다.

당시 장애는 비록 오전 시간 약 84분간 발생하였고, 배달의 민족, 쿠팡, 야놀자, 마켓컬리, 여러 암호화폐거래소, 신한은행 등의 사업자와 일반 사용자들이 크고 작은 불편을 겪었다.

이 기업들의 공통점은 이러했다 -> 서울 리전에만 AWS 를 구축해놓은 기업들이다.

이 당시 대안으로 얘기가 나왔던 것이 '멀티클라우드' 이다.

- 일본 등 다른 지역의 AWS 리전으로 멀티 클라우드를 적용한 기업들은 이번 장애를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EC2)

- 크기조정 가능한 컴퓨팅 파워 (가상 인스턴스의 크기가 고정X)

- 컴퓨팅 리소스 완전제어 (인스턴스는 고객이 관리, 제어성을 고객에게 제공)

 

 

 

EC2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쉽게 말해 독립된 컴퓨터를 임대해주는 서비스 (AWS의 대표적인 서비스, 대표적인 상품)

 

1. 특징

컴퓨팅 요구사항의 변화에 따라 컴퓨팅 파워를 조정할 수 있다.

새로운 서버 인스턴스 확보 및 부팅시간을 몇 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실제로 사용한 용량만큼만 지불 가능(요금제 선택에 따라 낭비할 수도 있음)

리눅스/윈도우 중 선택 가능하다 (이외 운영체제는 현재 지원하지 않는다)

 

 

2. EC2 시작하기

1. 우측 상단에서 리전 선택 -> 서울

2. 서비스 가능한 리스트가 뜨는데 이중 EC2 선택

3.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

4. AMI 선택

5. 인스턴스 유형 선택 -> General purpose (범용 인스턴스)

6.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인스턴스 개수 설정 - 몇 개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 등..)

7. 스토리지 추가 (크기 설정: 메모리 GB, 볼륨 유형: SSD 가 두 종류가 있는데 범용 SSD 선택 (프로비져닝된 IOPS SSD 가 있는데 이는 직접 저장장치의 속도를 지정), 종료 시 삭제: 해당 옵션 체크 시, 종료하면 컴퓨터와 저장장치가 모두 폐기됨(저장 장치도 비용 발생할 수 있으니 체크하고 넘어가기))

8. 태그 추가: 어떤 인스턴스를 만들고, 어떤 용도, 누가 관리하는지 등의 메모기능이라고 볼 수 있음

9. 보안 그룹 구성: 권한 관련된 것 지정 (Default 는 SSH 접속 허용이다)

10. 인스턴스 시작 검토 -> 여기서 "시작하기" 버튼 누르면 네트워크 시작시 지정할 비밀번호 설정 페이지가 나옴 (키 페어 생성하기)

11. 맨 처음 인스턴스 페이지로 돌아가보면 인스턴스가 생성되었고 초기화 중인 것을 볼 수 있다

12. 몇 분 뒤 초기화가 끝나고 이로써 EC2 Instance 한 개가 생성 완료되었다.

 

 

 

 

Amazon Machine Image (AMI) 선택

운영체제를 선택한다고 보면 된다

(AMI : 사전 구성된 Amazon 머신이미지라고 볼 수 있다)

리눅스/windons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키 페어

키 페어는 AWS 에 저장하는 퍼블릭 키와 사용자가 저장하는 프라이빗 키 파일로 구성됩니다.

이 둘을 사용하여 SSH 를 통해 인스턴스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macOS -> 키 페어를 홈 디렉터리의 .ssh 하위 디렉터리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출처

https://goddaehee.tistory.com/178

https://goddaehee.tistory.com/174

https://goddaehee.tistory.com/179